혹시나 여러분들 중에서도 전입신고를 위해 동사무소에 방문하시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부터 함께 보도록 할게요.
아마 많은 분들이 주민등록등본을 발급 받을때 민원24를 방문을 하셨을 거라고 생각 듭니다. 주민센터에 가셔서 수수료를 지불하면 발급 받을 수 있는데요. 인터넷으로는 무료 입니다.
잉크값과 인터넷 사용료, 전기세, 프린트 용지 까지 포함하더라도 저렴하게 이용을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어쨋든 메인 화면에 있는 전입신고 를 클릭을 하시게 됨녀 민원 24 주소이전 을 진행을 하실 수 있게 되십니다. 그리고 다음 화면에서는 인터넷 전입신고를 할때 주의사항들이 나오게 되는데요.
당연하게도 세대주고 전입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세대원이 전입신고를 잘못 하게 되면 세대원 한명만 따로 분가를 하게 되는 형국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사를 하고 난 이후에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하는데요. 과태료가 비싸진 않지만 5만원 정도 발생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약관을 동의 하는 체클르 하시고 난 이후에 인턴세 전입신고를 진행 해주세요.
아직 로그인을 하시지 않으셨다면 로그인 창이 나오게 되는데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더라도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다시 하셔야 합니다. 비회원로그인 등이 있지만 필수적으로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시는게 나중에 귀찮지 않으실 걸로 예상이 되네요.
이런방식으로 민원24 주소이전 을 진행을 하실 수 있습니다. 몇가지 설정을 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예시가 자세히 나와 있어서 선택을 하시는데 큰 무리는 없을 거라고 예상해봅니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하시게 되면 근무 외 시간에는 적용이 안되는건 동일 합니다. 확정일자를 받아야 하거나 급한 경우에는 오히려 민원센터 방문 하셔서 전입신고를 하시는게 더 빠를 수 있을거 같기도 하네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